할투 774번 영상, 젠포트 월봉 백테스팅 전략으로 만들기
이번 글은 '할 수 있다! 알고 투자' 강환국 님의 774번 영상에 나온 재무제표 관련 팩터를 사용한 전략을 젠포트 월봉 백테스팅 전략으로 만들어보고자 합니다.
1. 개요
할투 774번 영상은 책 '문병로 교수의 메트릭 스튜디오'의 내용을 바탕으로 만드신 영상입니다. 영상의 핵심 내용은 "PER, PBR, EV/EBITDA 등 재무제표 밸류 팩터와 소형주는 여전히 한국시장에서 통한다."입니다. 또한 PCR, PSR, PBR, PER, EV/EBITDA 지표를 각각 백테스팅해보는 것뿐만 아니라 다 합친 백테스팅 결과가 하이라이트 장면이 아닐까 생각됩니다.
2. 관련 자료
[젠포트 전략 공부] 젠포트 월봉 백테스팅 무료 오픈
안녕하세요. 피그입니다. 기존에는 일봉, 틱 백테스팅만을 지원하던 젠포트에서 월봉 백테스팅 기능을 전면 무료 오픈했습니다. 월봉 백테스팅 하러가기 로보어드바이저 :: 젠포트 종목선정부
moneypig.tistory.com
774. 메트릭 스튜디오 '복리 20%전략', 아직도 통하나?
3. 월봉 백테스팅 설정
위 영상에서 나온 것처럼 PCR, PSR, PBR, PER EV/EBITDA 지표가 낮은 소형주를 골라볼 뿐만 아니라 영상에 나오지 않은 11-4 시즈널리티도 사용해보고 소형주를 만들 때 빠질 수 없는 조건식인 '영업이익 흑자' 조건식도 사용해보겠습니다.
저평가 소형주에 시즈널리티와 흑자기업이 합쳐진다면 과연 얼마나 더 좋아질까요? 백테스팅으로 알아봅시다.
3.1 기본 조건

1. 운용자금
운용자금은 1천만 원을 입력합니다.
2. 운용기간
운용기간은 전체 버튼을 눌러서 2007년 1월부터 최근 일자까지 진행합니다.
3. 수수료율
수수료율은 키움증권은 0.015%, NH증권은 0.25%를 입력합니다.
4. 슬리피지
슬리피지는 1.0%를 넣었습니다. 지정가 매매이지만 소형주를 전일 종가에 5%까지 매수하기 때문입니다. 소형주는 거래대금이 적고 호가 간의 간격이 크기 때문에 슬리피지가 발생하기 쉽습니다.
5. 최대 보유종목 수
최대 보유 종목 수는 20 종목으로 종목당 5%씩 매수합니다. 또는 20 종목 이상으로 하셔도 괜찮습니다. 다만 10 종목 이하는 위험성이 커지기에 비추천드립니다.
3.2 매수 조건식

매수 조건식은 소형주, 동전주 제외, 11-4 시즈널리티, 영업이익 흑자입니다.
1. 소형주
매수 조건식 선택
A 비율내림차순({시가총액}) < 30
매수 조건식 설정
A
시총 하위 30% 미만을 뜻하며 소형주를 고르기 위한 조건식입니다. 하위 30%가 아니라 20%로 설정하셔도 좋습니다.
비율({시가총액},{오름차순})을 사용할 수도 있지만 젠포트의 비율 팩터는 내림차순과 오름차순이 바뀌어 있기 때문에 헷갈리기 쉽습니다. 이런 문제를 해결하고자 비율내림차순, 비율오름차순 팩터가 추가되었고 이 팩터를 사용하시는 게 좋습니다.
2. 동전주 제외
매수 조건식 선택
B {종가} > 1000
C 이동평균({종가},5) > 1000
매수 조건식 설정
B and C
B는 전일 종가가 1천 원 초과하는 종목, C는 전일 종가의 5일 평균이 1천 원이 초과하는 종목을 고르는 조건식입니다. 동전주는 어느 전략이든 제외하는 것이 더 좋은 결과를 보여줍니다.
3. 11-4 시즈널리티
매수 조건식 선택
D {월} < 4
E {월} >= 10
매수 조건식 설정
(D or E)
11-4 시즈널리티를 위한 조건식입니다. 10월 말부터 3월 말까지 매수하며 4월 말 모두 매도하는 조건식입니다. 이렇게 만든 이유는 젠포트의 월봉 백테스팅, 자산배분같이 리밸런싱을 지원하는 포트의 특징 때문입니다.
매월 마지막 영업일의 이틀 전 저녁에 매도할 종목들을 선정합니다. 마지막 영업일 하루 전날 장중 매도하고 저녁에 매수할 종목들을 선정합니다. 그리고 마지막 영업일에 매수하는 특징이 있습니다.
ex) 22년 7월 마지막 영업일은 29일입니다. 27일 날 저녁에 매도할 종목들을 선정합니다. 28일 장중에 매도하고 저녁에 매수할 종목들을 선정합니다. 그리고 마지막 영업일인 29일에 어제 선정한 종목들을 매수합니다.
4. 영업이익 흑자
매수 조건식 선택
F {영업이익} > 0
G {트레일링영업이익} > 0
매수 조건식 설정
(F and G)
최근 분기 영업이익이 흑자인 종목, 최근 4분기 영업이익의 합이 흑자인 종목을 고르는 조건식입니다. 적자 소형주는 흑자인 기업이 적자인 기업보다 수익률이 좋고 상장폐지의 위험을 줄일 수 있습니다.
5. 매수종목 우선순위
매수종목 우선순위
비율내림차순('비율오름차순({PCR})+비율오름차순({PSR})+비율오름차순({주가순자산률(PBR)})+비율오름차순({주가수익률(PER)})+비율오름차순({EV/EBITDA})') / 내림차순
PCR, PSR, PBR, PER, EV/EBITDA 지표는 낮을수록 저평가되었다는 뜻입니다. 낮은 기업을 매수할 수 있게 오름차순으로 정렬합니다. 그리고 5개 모두 더한 값이 클수록 저평가된 기업이고 더한 값이 큰 기업들을 매수할 수 있도록 내림차순을 사용합니다. 이렇게 5개 지표를 모두 합해 저평가된 기업 50개를 선정했습니다.
6. 매수종목 2차 우선순위
매수종목 2차 우선순위
{시가총액} / 오름차순
2차 정렬 사용 박스를 체크하시고 {시가총액}을 입력한 뒤 오름차순으로 설정하시면 선정된 종목 50개 시가총액이 낮은 순으로 재정렬하게 됩니다. 하위 30% 소형주에서 저평가된 기업을 고르고 그중에서도 시가총액이 낮은 종목을 매매합니다. 시가총액이 낮을수록 주가의 상승을 기대할 수 있습니다.
4. 백테스팅 결과



누적 수익률 2196.28% / CAGR 22.94% / MDD 28.81%
07년 1월부터 22년 7월까지 CAGR 22.94%, MDD 28.81%의 강력한 전략이 탄생했습니다.
매월 리밸런싱과 11-4 시즈널리티로 최대한 위험을 피했습니다. 위기가 있었지만 꾸준히 상승하는 모습을 보여줬기 때문에 실전에 투입해도 될 것 같습니다. 슬리피지 1%나 넣었는데도 수익률이 괜찮게 나왔습니다.
매월 리밸런싱도 괜찮지만 매 분기, 매년 리벨런싱도 괜찮아 보입니다. 혹은 25 종목을 보유해도 괜찮을 것 같습니다. 젠포트의 최고 장점은 타 퀀트 툴과 비교할 수 없는 자유도라고 생각됩니다. 이 글에서 나온 전략 그대로 안 쓰고 여러분들이 마음에 드시는 데로 변경해도 충분히 좋은 전략이 나올 것입니다.
저 PER, 저 PBR 같은 저평가된 종목을 고르는 지표는 지금까지도 통하는 마법 같은 지표입니다. 유튜브 영상, 논문, 주식 강의 혹은 회사 동료들과 담배 한 대 피우면서 한 번쯤은 언급되는 지표들이 과거부터 지금까지도 유효하다는 게 신기합니다. 여러분들도 젠포트를 사용해서 퀀트전략들을 만들어 보시는 걸 추천드립니다.
'젠포트 > 전략 소개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지수 IBS를 활용한 ETF 양방향 전략 [젠포트 전략 소개] (0) | 2021.09.19 |
---|---|
실전 운용 단타 전략 (GAGR 60.57 / MDD 7.1) [젠포트 전략 소개] (1) | 2021.08.17 |